사단법인 마산장애인권센터

메인메뉴

 
자료실
마산장애인인권센터는,
차이를 넘어 차별없는 세상으로 함께 걸어가겠습니다!

인권기사

단전·단수 위험 3만명, 복지제도 보호 가구는 10% 불과 '사각지대'
작성자 관리자
조회수 : 18회 작성일 25-10-28

본문

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의원. ©서미화 의원실

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의원. ©서미화 의원실


【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】전기와 수도가 끊길 위기에 놓인 가구가 전국적으로 3만 명을 넘었지만, 이 가운데 기초생활보장 등 제도권 복지의 보호를 받는 가구는 약 10%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.

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의원(더불어민주당)이 한국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, 2025년 기준 17개 광역지자체 단전·단수 위험인구는 각각 1만7103명, 1만4639명으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.

위험인구란 전기·수도요금 체납, 금융 연체 등 복수의 위기정보로 시스템에 포착된 입수대상자를 의미한다.

이 가운데 기초생활수급 비율은 단전 위험인구의 13.7%, 단수 위험인구의 11.9%에 그쳤다. 위기 신호가 감지돼도 실제 복지 지원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‘복지 사각지대’가 넓다는 지적이 제기됐다.

특히 장애인이 포함된 가구는 단전 위험군에서 1352가구(7.9%), 단수 위험군에서 1644가구(11.2%)로 나타났다.

지역별로는 단전 위험인구가 ▲경기도(3479명) ▲서울특별시(2351명) ▲인천광역시(1935명) 순으로 많았으며, 단수 위험인구는 ▲경기도(9794명) ▲인천광역시(1678명) ▲경상남도(945명) 순이었다.

장애인 포함 가구의 비율은 단전 위험군의 경우 ▲강원특별자치도(10.2%), ▲서울특별시(10.1%) ▲경상남도(10%)이며, 단수 위험군의 경우 ▲울산광역시(25.0%), ▲충청북도(13.7%) ▲인천광역시(11.6%)순으로 높게 나타났다.

사회보장정보원은 공공요금 체납, 금융 연체, 건강보험료 미납 등 공공·민간 기관이 보유한 다양한 위기정보를 연계해 복지위기 가구를 탐색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.

서 의원은 “올해 단전·단수 위험인구가 각각 1만 명을 넘었지만, 그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10% 남짓에 불과하다”며“전기와 수도는 국민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영역인데, 이마저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은 생계 전반이 무너지고 있다는 경고 신호다”고 언급했다.

이어 “국민 생계를 위협하는 복지 사각지대는 더 이상 존재해서는 안 된다”며 “특히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맞춤형 긴급복지 연계 및 직권신청 활성화 등 위기 상황에서 즉시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”고 강조했다.

-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(ablenews.co.kr)- 

-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@ablenews.co.kr-

출처 : 에이블뉴스(https://www.ablenews.co.kr)

배너모음

Address.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광려로 41, 310호(우노프라자)
Tel. 055-294-1077 | Fax. 055-232-8885 | E-mail. msdhl1077@hanmail.net
Copyright(C)msdhl. All Rights Reserved.